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태 누가 책임지나
전자정부 멈췄다! 단 1건의 화재가 대한민국 멈춤!
2025년 9월 26일 저녁 8시 15분,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제7전산실에서 UPS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화재가 일어났습니다.
이 화재로 인해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등 647개 중요한 행정 시스템이 정지되었어요. 국민들이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온라인 민원 서비스부터 공무원들의 업무 시스템까지 모두 마비됐죠.
정보자원관리원은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심장과 같은 곳입니다. 단 하나의 화재 사고로 국가 전체의 디지털 행정이 멈춰버린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거예요.
국민들은 갑작스러운 서비스 중단으로 큰 불편을 겪었고, 정부는 긴급 복구에 나섰지만 피해 규모가 워낙 커서 완전 복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화재는 UPS용 리튬이온 배터리팩이 폭발하면서 발생했습니다. 전산실 특성상 화염과 가스, 그리고 복잡한 내부 구조 때문에 소방관들의 현장 진입이 크게 지체됐어요.
불은 새벽까지 진압되지 않았고, 오전 6시 40분에는 재발화까지 일어났습니다. 소방대는 전산실 내부 설비 정보가 부족해 진화 작업에 어려움을 겪었죠.
특히 리튬배터리 화재는 물로 끄기 어렵고 독성 가스도 발생해 더욱 위험했습니다. 이런 특수한 화재에 대한 대응 매뉴얼이 부족했던 것도 피해를 키운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어요.
결국 진화는 27일 오후 6시에야 완료됐지만, 이미 핵심 시스템들은 복구 불가능할 정도로 손상된 상황이었습니다.
화재 10일째인 10월 5일 기준, 전체 정부 행정 시스템 647개 중 134개(복구율 20.7%)만 복구되었습니다.
이 중 1등급 핵심업무 시스템인 온나라메일, 모바일 공무원증 등도 겨우 일부만 다시 작동하고 있어요. 정부는 모든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24시간 복구 작업을 진행 중이지만, 국민들의 불편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민원 처리나 각종 증명서 발급 같은 일상적인 행정 서비스가 마비되면서 시민들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죠.
이번 사태로 국가의 전자정부 시스템이 단일 사고로 이렇게 쉽게 마비될 수 있다는 취약성이 드러났습니다. 향후 백업 시스템 구축과 분산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요.
2024년 5월 실시된 화재안전조사에서 대전 본원 전산실은 점검 대상에서 빠졌습니다. 주요 시설임에도 소화가스 등의 이유로 내부 안전점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거죠.
더 놀라운 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 센터가 모두 '소방안전 특별관리대상'이 아니었다는 점입니다. 국가 전체의 전자정부 시스템을 관리하는 핵심 시설인데도 말이에요.
이런 허술한 안전 관리가 결국 대한민국 전산 시스템 전체를 마비 위기로 몰아넣었습니다. 정부는 뒤늦게 전국 모든 정보자원관리원에 대한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했어요.
국민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정부의 철저한 자기반성과 근본적인 안전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복구만으론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죠.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댓글로 함께 이야기 나눠요 💬😊
도움이 되셨다면 👍 공감 버튼 한번 눌러주세요!
여러분의 공감이 큰 힘이 됩니다 💪✨
------
요약정리
------
❏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발생
2025년 9월 26일 저녁 8시 15분,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제7전산실에서 UPS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화재가 발생하여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등 647개 행정 시스템이 정지되었다.
❏ 화재 진압의 어려움
리튬배터리 특성상 물로 진화가 어렵고 독성 가스 발생으로 소방관들의 현장 진입이 지체되었으며, 27일 오전 6시 40분 재발화가 일어나 최종 진화는 27일 오후 6시에 완료되었다.
❏ 시스템 복구 현황
화재 발생 10일째인 10월 5일 기준, 전체 647개 시스템 중 134개(20.7%)만 복구되었으며, 1등급 핵심업무 시스템도 일부만 작동하고 있어 국민들의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
❏ 안전점검 관리 부실
2024년 5월 화재안전조사에서 대전 본원 전산실이 점검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 센터가 소방안전 특별관리대상이 아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