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중국이 달에 먼저 착륙한다?
2025년 8월 15일, 중국 하이난성 원창 우주기지에서 엄청난 성과가 나왔어요. 유인 달 탐사용 발사체 롱마치 10호의 첫 정적 연소 시험이 대성공을 거둔 거죠! 🚀
7개의 엔진이 동시에 점화되면서 무려 900톤에 달하는 강력한 추력을 안정적으로 내는 데 성공했다고 해요. 모든 시스템이 정상 및 고출력 조건에서 완벽하게 작동했다니, 정말 대단한 성과네요.
이번 시험 성공으로 중국은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기술적 첫 단계를 돌파했어요. 확보된 데이터는 향후 실제 발사와 달 탐사에 핵심적인 밑바탕이 될 예정이고요.
특히 미국의 아르테미스 계획이 연이어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의 이런 성과는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달 탐사 경쟁에서 중국이 앞서 나가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거든요.
중국 국가항천국(CNSA)이 드디어 구체적인 목표를 공식 선언했어요. 2030년 이전에 중국 우주인을 달에 내려보내겠다는 야심찬 계획이죠! 🌙
이 프로젝트에는 '멍저우'라는 신형 유인 우주선과 '란웨' 달 착륙선, 그리고 중계 위성 퀘차오-2가 투입될 예정이에요. 착륙선과 유인우주선을 별도로 발사해서 달 궤도에서 도킹한 후, 우주인이 달 표면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하네요.
여기서 주목할 점은 중국이 모든 시스템을 독자적 기술로 설계하고 운영한다는 거예요. 다른 나라에 의존하지 않고 100% 국산 기술로만 달 탐사를 해내겠다는 강한 의지가 보입니다.
미국 아르테미스 계획이 계속 지연되는 상황에서 중국의 선점 가능성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어요. 정말 흥미진진한 우주 경쟁이 펼쳐지고 있네요!
중국의 달 탐사 계획은 단순한 착륙에서 끝나지 않아요. '국가 우주과학 중장기 발전 계획(2024~2050년)'에 따르면 2035년까지 달 남극 근처에 국제달연구기지(ILRS)를 건설한다는 거대한 구상을 갖고 있거든요.
처음에는 기초적인 유인 연구기지로 시작해서, 2050년까지는 대규모 확장형 기지로 키워나갈 계획이라고 해요. 상상만 해도 스케일이 엄청나죠! 🏗️
더 놀라운 건 달 표면과 궤도에 전략적 전술 거점을 설치하고, 소통용 중계기(퀘차오-2), 용암동굴 활용 방안까지 적극 검토하고 있다는 점이에요.
이건 단순한 탐사를 넘어서 장기 체류, 자원 활용까지 염두에 둔 초대형 우주 프로젝트인 셈이죠. 중국이 달을 제2의 지구로 만들겠다는 원대한 꿈을 현실로 옮기고 있는 것 같네요.
반면 미국 NASA의 아르테미스 계획은 답답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어요. 재정 문제, 행정적 이슈, 하드웨어 개발 지연 등이 복합적으로 얽히면서 일정이 수차례 연기되고 있거든요. 😅
Artemis II와 III 모두 목표 달성이 2026년 이후로 밀릴 가능성이 농후해졌다고 해요. 행정부의 정치적 우선순위가 바뀌고 예산 배정에도 문제가 생긴 상황이죠.
이런 틈을 타서 중국이 달 유인 탐사와 기지 건설 일정을 빠르게 추진해 세계 최선두로 나설 것이라는 우려가 미국 내에서도 확산되고 있어요.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이 인류 최초의 달 남극 유인기지를 선점하게 될 수도 있다'며 강한 경계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미국이 자칭 우주 강국이라고 하면서 이런 상황이 벌어지니 체면이 말이 아니겠네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댓글로 함께 이야기 나눠요 💬😊
도움이 되셨다면 👍 공감 버튼 한번 눌러주세요!
여러분의 공감이 큰 힘이 됩니다 💪✨
------
요약정리
------
❏ 롱마치 10호 정적 연소 시험 성공
2025년 8월 15일 중국 하이난성 원창 우주기지에서 유인 달 탐사용 발사체 롱마치 10호의 첫 정적 연소 시험이 성공했으며, 7개 엔진이 동시에 점화되어 900톤의 추력을 안정적으로 달성했다.
❏ 중국 유인 달 착륙 목표 선언
중국 국가항천국이 2030년 이전에 중국 우주인을 달에 착륙시키겠다는 목표를 공식 선언했으며, '멍저우' 유인 우주선, '란웨' 달 착륙선, 퀘차오-2 중계 위성을 활용한 독자적 기술로 진행할 예정이다.
❏ 달 남극 기지 건설 계획
중국은 '국가 우주과학 중장기 발전 계획(2024~2050년)'에 따라 2035년까지 달 남극 근처에 국제달연구기지를 건설하고, 2050년까지 대규모 확장형 기지로 발전시킬 계획이며, 용암동굴 활용과 전략적 전술 거점 설치도 검토하고 있다.
❏ 미국 아르테미스 계획 지연
미국 NASA의 아르테미스 계획은 재정 문제, 행정적 이슈, 하드웨어 개발 지연 등으로 인해 Artemis II와 III의 목표 달성이 2026년 이후로 연기될 가능성이 높으며, 중국의 달 탐사 선점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국제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시카고 주방위군 투입 강경 발언 (4) | 2025.08.24 |
---|---|
이재명 미국·일본 순방의 모든 것 (1) | 2025.08.23 |
미국 ICC 판검사 추가 제재 단행 (0) | 2025.08.22 |
북한, 이재명 실명비난 대화 거부와 핵시설 확장까지 (0) | 2025.08.21 |
우크라 전쟁 3자 정상회담 급진전 (7) | 2025.08.20 |
- Total
- Today
- Yesterday
- AI
- 이재명
- 푸틴
- 국회
- 토트넘
- 젤렌스키
- 특검
- 국민의힘
- 연체율
- 이현도
- 미국
- 논란
- 가계부채
- 기준금리
- 구속영장
- 휴전
- KBO리그
- 김성재
- 반도체
- 한국은행
- SK하이닉스
- 손흥민
- 중국
- 인플레이션
- 금리인하
- 케이팝 데몬 헌터스
- 김정은
- 트럼프
- 윤석열
- 시진핑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