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부산 아파트 15년만 최악! 은행도 흔들린다!
2025년 6월 기준 부산의 미분양 아파트가 약 5,300가구에 이르렀어요. 이 중 준공 후에도 팔리지 않는 '악성 미분양'이 2,600가구로, 무려 15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악성 미분양이란 공사가 끝났는데도 입주자를 찾지 못한 아파트를 말하는데요. 건설사 입장에서는 완공했는데 돈이 안 들어오니까 자금난이 심각해지는 거죠.
부산 지역의 대규모 공급과 저조한 청약률, 그리고 실제 집을 사려는 수요자들이 급격히 줄어든 게 겹치면서 구조적인 불황에 빠진 상황입니다.
현장에서는 하도급 미수금이나 건설사 연쇄 도산 등의 충격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어요. 건설업에 종사하는 분들은 일감 부족과 미수금 문제를 직접 체감하고 계십니다.
2024년 한 해 동안 부산에서만 건설사 5곳이 부도를 내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미분양이 장기화되면서 자금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건설사들이 아예 회사 존립 자체가 위험해진 거예요.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아요. 납품업체나 하도급업체들도 연쇄 부실 위기에 놓였거든요. 협력업체들은 분양이 안 되면서 외상으로 밀린 돈을 받지 못해 울상이에요.
결국 건설업 일자리가 줄어들고, 지역 경기가 위축되고, 금융시장까지 부실 위험이 확산되는 악순환이 시작된 겁니다.
이런 상황은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단순히 건설업계만의 문제가 아니라 산업 전반과 금융까지 번질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어요.
부산 지역 은행들의 연체율이 2025년 1.07%까지 치솟으면서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어요. 이건 부동산 침체와 경기 회복 지연, 그리고 고금리 부담이 모두 겹친 결과입니다.
주택담보대출부터 시작해서 건설사들의 기업대출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요. 금융 불안 신호가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이에요.
건설사의 미분양 문제가 하도급업체 부실로 이어지고, 이게 결국 은행권까지 여파를 미치는 악순환 구조가 만들어진 거죠.
금융당국도 연체율 확산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고, 추가적인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역 금융기관들의 건전성 관리가 중요한 시점이에요.
정부와 부산시는 미분양 해소를 위해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공적으로 매입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해요. 공급 조정이나 건설사와의 협상 등 여러 정책 방안들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많아요. 실물경기 침체와 연쇄 도산 위험이 너무 깊어서, 정부나 지자체의 뚜렷한 추가 대응이 8월 현재까지 나오지 않고 있거든요.
건설사와 협력업체 측에서는 '실질적인 구제책'을 내놓으라고 촉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어요. 단순한 매입 정책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다는 거죠.
정책 대응이 미흡하면 금융권과 산업 전반에 더 큰 리스크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댓글로 함께 이야기 나눠요 💬😊
도움이 되셨다면 👍 공감 버튼 한번 눌러주세요!
여러분의 공감이 큰 힘이 됩니다 💪✨
------
요약정리
------
❏ 부산 미분양 아파트 현황
2025년 6월 기준 부산의 미분양 아파트가 약 5,300가구에 달하며, 이 중 준공 후에도 팔리지 않는 악성 미분양이 2,600가구로 1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 건설사 연쇄 부도 사태
2024년 부산에서 건설사 5곳이 부도를 내면서 납품업체와 하도급업체들까지 연쇄 부실 위기에 놓였고, 건설업 일자리 감소와 지역 경기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 금융권 연체율 급등
부산 지역 은행들의 연체율이 2025년 1.07%까지 상승하여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으며, 주택담보대출부터 건설사 기업대출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정부 및 지자체 대책
정부와 부산시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의 공적 매입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뚜렷한 추가 대응책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리움 폭등 사상 최고가 경신 ETF 효과 직격 (3) | 2025.08.27 |
---|---|
인텔 10% 美 정부 지분 트럼프의 새 반도체 정책 (6) | 2025.08.26 |
8월 금통위 기준금리 동결 vs 인하 팽팽한 대결 (1) | 2025.08.24 |
하남 집값 폭등 vs 서울 하락세 수도권 양극화 (2) | 2025.08.22 |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경제 경고등 점등 (1) | 2025.08.21 |
- Total
- Today
- Yesterday
- 윤석열
- 국민의힘
- 이현도
- 반도체
- 연체율
- 논란
- 젤렌스키
- 손흥민
- 구속영장
- 푸틴
- 시진핑
- SK하이닉스
- 휴전
- 토트넘
- 김정은
- KBO리그
- 트럼프
- 금리인하
- 인플레이션
- 특검
- 이재명
- AI
- 김성재
- 가계부채
- 기준금리
- 중국
- 미국
- 한국은행
- 케이팝 데몬 헌터스
- 국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